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단계적 확충

by 한결처럼 2020. 4. 21.
반응형

간선급행버스체계(BRT, Bus Rapid Transit)

사업목적

철도, 도로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빠르고 편리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고 대도시권 교통난 완화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정의

BRT 전용차로, 편리한 환승시설, 교차로에서의 버스우선통행 그밖의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사항을 갖추어 급행으로 버스를 운행하는 교통체계

 

추진경위

 - 2004. 12 : 수도권 간선급행버스체계 노선망 구축계획 확정
  * 한국도로공사(도로교통기술원)가 제시한 21개 노선과 인천시가 제시한 1개 노선을 수용, 총 22개 노선 540.4 ㎞ 구축하기로 결정
 - 2005. 05 : 수도권 간선급행버스체계 시범사업 선정(하남-천호, 청라-강서)
 - 2006. 12 :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설계지침」제정
  * 지자체별로 시행되는 BRT의 효율적 설계를 위하여 BRT설계지침 마련
 - 2009. 04 : 하남-천호 광역BRT 착공
 - 2010. 06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설계지침」개정
  * BRT 유형구분을 개편하고, 시설기준을 개선하여 현실성 제고 및 서비스 수준 향상
 - 2010. 08 : 전국 대도시권 BRT 확충 계획 수립
  * 지자체의 기초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체계적 BRT 사업 추진을 위한 BRT 확대 구축 마스터 플랜 수립
 - 2010. 09 : 청라-강서 광역BRT 착공 
 - 2011. 03 : 하남-천호 광역BRT 주행로 개통
 - 2013. 07 : 청라-강서 광역BRT 1단계 준공
 - 2017. 12 :「간선급행버스체계 기술기준」 일부개정
 - 2018. 11 : 간선급행버스체계 종합계획(2017-2027) 수립 및 고시

 

주요사업내용

- 2019년 기준, 광역 BRT 4개 노선(114.5km) 및 도시 BRT 20개 노선(160.9km)를 운영 중 → (현재) BRT 24개 노선, 275.4km

광역 BRT - 4개소(L=114.5km, 총사업비 7,112억원, 국비지원 6,148억원)

구분 기종점 연장(km) 총사업비 국비지원 비고(개통)
하남-천호BRT 서울 천호역 ~ 하남 창우동 10.5 444억원 218억원 '11년
청라-강서BRT 인천 청라 ~ 서울 화곡역 19.8 519억원 193억원 '13년
세종 BRT 반석역 ~ 세종시 ~ 오송역 31.2 5,409억원 5,409억원 '12년
대전역 - 세종 BRT 대전역 ~ 세종시 ~ 오송역 53 740억원 328억원 '16년

※ 하남-천호, 청라-강소 : 저상CNG버스 / 세종 : CNG 하이브리드버스
※ '세종BRT'와 '대전역-세종BRT'는 22.3km 중복 운영

도시 BRT - 20개소(L=160.9km, 총사업비 4,070억원, 국비지원 990억원)

구분 서울 경기 대전 광주 부산
노선수(개) 12 4 2 1 1
총연장(km) 110.2 26.8 8.1 5.4 10.4

제3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 계획('17 ~ '20)

구분 수도권 부산 · 울산권 대구권 대전권 광주권
노선수(개) 9 5 3 - 1 -
총연장(km) 150.1 71.4 67.2 - 11.5 -
사업비(억원) 5,932 2,153 2,499 - 740 -

사업효과(하남-천호BRT 개통 이후)

- 버스통행속도 : 19.2km/h → 21.0km/h로 1.8km/h 증가(약 9.3% 증가)
- 버스이용객수 : 47,001인/일 → 58,042인/일로 11,401인/일 증가(약 23.5% 증가)
- 정시성 분석 : 통행시간 편차가 ±4분29초 → ±1분20초로 정시성 제고

 

간선급행버스체계 전용차량의 종류

일반형과 신교통형전용차량으로 구분

1. 일반형 전용차량 :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 제3조제1호가목에 따른 시내버스 운송사업에 사용되는 자동차
2. 신교통형 전용차량 : [자동차관리법] 제3조제2호에 따른 승합자동차로서 일반형 전용차량에 비하여 수송 능력, 승하차 방식 또는 동력발생장치 등이 기술적으로 개선된 자동차

 

BRT 운행범위 및 기반시설 설치형식에 따른 유형

운행범위에 따라 광역형과 도심형으로, 기반시설 이용방식에 따라 전용형과 혼용형으로 분류

구분 BRT 자동차 주행로 교차로 정류소 환승시설 운영관리 시스템 기준평균
통행속도
광역 전용 맞춤형 BRT 차량 전용도로 또는 전용차로 입체 또는 우선신호 폐쇄형, 반개방형 포함 전용운영 시스템 35km
혼용 일반 BRT 차량 부분입체, 우선처리 개방형, 반개방형 BMS, BIS
도심 전용 맞춤형 BRT 차량 입체 또는 우선신호 폐쇄형, 반개방형 필요시 포함 전용운영 시스템 25km
혼용 일반 BRT 차량 우선처리 개방형, 차량지불형 BMS, BIS
주1) BRT 차량는 「간선급행버스체계의 건설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3조에 규정된자동차를 의미함 
2) 우선처리는 BRT 진행방향으로의 신호시간 확대 조정, 회전금지, 연동 및 우선신호처리등을 의미함 
3) 전용운영시스템은 정류장지불형 요금체계, BIS, BMS, 교통약자정보안내체계가 운영되는 시스템임

 

BRT 현황

대한민국에서는 서울특별시에서 시행하는 중앙버스전용차로제를 흔히 BRT라고 부르지만, 엄밀히 말해 이는 BRT가 아니다. 현재는 경기도 고양시에서 버스우선신호를 갖춘 초보적인 BRT를 시행하고 있는 것이 전부이다. 본격적인 고급 BRT는 세종특별자치시, 하남시·인천 청라지구에서 정식 운행 중이다.

대전광역시에서도 계백로에 BRT 건설에 대한 연구 용역을 실시했으나 자가용 중심의 교통 문화와 지하철 건설 등의 문제와 이해가 충돌하여 건설이 백지화되었다.

다만, 현재 오송역과 세종특별자치시 신도심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반석역을 잇는, 이미 운행되고 있는 BRT 노선 외에 반석역과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암동 일대에 착공 예정인 유성복합터미널(대전 도시철도 1호선 구암역)을 연결하는 BRT 1구간 연장 구간이 2015년 착공될 예정이고, BRT 2구간에 해당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신도심 ~ 신동·둔곡지구(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 지구) ~ 대전역 구간이 2016년 7월 19일 완공되어 현재 운행 중이다.

세종특별자치시에 운행되고 있는 BRT의 차종으로 1차 선정된 차량은 현대자동차의 현대 블루시티로, 유력 차종으로 여겨졌던 한국화이바의 바이모달 트램은 비싼 차량 가격과 잦은 고장 등을 이유로 1차 선정에서는 탈락한 상태이며, 이들 차량과 함께 선정 대상 후보군 가운데 하나였던 한국기계연구원과 대우버스가 공동으로 개발한 디젤 하이브리드 버스 일부는 세종교통에 매각되어 세종특별자치시 신도심 ~ 조치원역 서편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 전동면 ~ 전의면 ~ 소정면 대곡리 구간을 운행하는 급행버스 노선에 투입되고 있다.

공주시에서는 공주역 이용 활성화를 위해 세종시와 공주역을 잇는 BRT 노선을 추진중이다.

3기 신도시로 지정된 남양주 왕숙지구, 하남 교산지구, 인천 계양테크노밸리, 과천 과천지구 등에서도 BRT가 활용될 예정이다.

한편, 부산광역시에서도 광무교 ~ 내성교차로 ~ 올림픽교차로간 BRT가 운영 중이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검암역세권 공공주택지구 관련 내용  (0) 2020.04.23
S-BRT(Super - Bus Rapid Transit)  (0) 2020.04.21
(공법) 수도 분석  (0) 2020.04.21
(공법) 하천 분석  (0) 2020.04.21
(공법상) 문화재 분석  (0) 2020.04.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