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리

번아웃 증상과 극복하는 방법

by 한결처럼 2022. 12. 12.
반응형

번아웃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데요. 지금하고 있는 행동이 옳은 걸까, 결과를 받아들이기 힘들거나 과거를 후회하는 생각들에 지치는 경우가 참 많습니다. 이런 나를 괴롭히는 생각들이 현재에 집중하지 못하게 만드는데, 현재에 집중하고 번아웃을 극복하는 휴식을 갖는 방법을 알아보고 행복을 찾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번아웃 증후군이란?

WHO(세계 보건기구)에서 번아웃은 질병이 아닌 직업 관련 증상이라고 합니다.
번아웃은 질병은 아니지만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정의나 분류를 더 명확하게 했다고 합니다.

번아웃, 영어로 타버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요. 말 그대로 우리 뇌도 등산하면 다리가 뻐근해지듯이 뇌도 많이 쓰면 피곤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스마트폰 방전되듯이 뇌 에너지가 빠져서 지치는 것을 번아웃이라고 표현합니다.

 

번아웃의 증상

① 에너지가 떨어지면서 아무것도 하기 싫어진다.
② 성과를 내어도 주관적으로 뿌듯하지가 않다.
③ 공감 에너지가 떨어지면서 상대방에 대한 마음이 이해가 잘 되지 않으면서 까칠해지거나 사람을 만나고 싶어 하지 않게 됩니다.
④ 너무 지치면 다른 사람의 눈을 보고 싶지 않은 게 사실은 에너지 소통이 말보다 눈으로 더 많이 하게 된다고 하는데, 눈을 피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합니다.

 

번아웃이 왔을 때 극복하는 방법

① 나를 제일 사랑하는 사람은 바로 나여야 합니다.

첫 번째로 해야 하는 일은 나를 제일 사랑하는 사람은 나여야 하고 내 마음을 안아주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번아웃이 온 나를 또다시 번 아웃시키는 행동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난 이것밖에 안돼, 난 왜 이 모양일까, 더 열심히 해야지, 긍정적인 마음을 먹어야지, 여기서 멈춰 선 안돼 라고 하는 생각은 등산에서 아픈 다리에 이 바보 같은 다리야 저산 또 못 올라라고 야단치는 것입니다. 이런 방법으로 다리가 회복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② 명소에 마음을 터놓을 수 있는 사람과 마음을 나눈 것

아무리 친한 친구도 속상한 이야기를 듣는 건 쉬운 일은 아닙니다.
의외로 이야기할 사람을 찾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또 사람과의 관계라면 이야기해야 할 상대방이 내 스트레스의 주원인일 수 도 있으니까요. 

③ 자연 문화 활용하기

조금 더 편안한 방법은 자연문화를 활용하는 것인데요. 자연과 문화를 만나면 내 마음에 투사 기능이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하늘을 보고 걷는다면 하늘에 나를 쏘는 것입니다. 주인공이면 만만치 않은 내 인생이었지만, 관객으로 내 인생을 보면 다르게 보인다고 합니다. 나만 힘든 것도 아니다는 것도 느껴지게 되는데 이제 마음의 기대치가 떨어지면서 긍정성이 생기는 걸로 설명을 하는데, 사랑을 한 번도 안 해본 사람한테 사랑을 설명하기가 진짜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런 부분 때문에 의외로 진입 장벽이 있고 연습이 필요합니다.

④ 하루 10분 멍 때리며 걷는 산책하기

가장 쉽고 좋은 방법은 하루에 10분을 산책하면서 멍 때리는 것이라고 합니다.
논문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근데 멍 때리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보통 우리는 잡념으로 들어가게 되기 때문인데요. 예를 들어 '어제 왜 그랬을까' 하는 과거에 대한 후회, '10년 후에 어떻게 하지'라는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뇌를 더 지치게 하기 때문입니다.
멍 때리 다를 정확한 학술 용어로 보면 외부와의 정보 채널을 끊어 내면과 연결되는 상태를 말하는데, 영어로는 태스크 네거티브(task-negative)라고 합니다.

 

현재에 집중하고 행복을 느껴보자

과거에만 넘어가 있는 내 마음은 현재를 바라보면서 현재의 즐거움을 느끼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가을은 마음 충전을 연습하기에는 제일 좋은 계절이라고도 합니다.
처음에 걷는 연습을 할 때는 하늘, 자연, 사람을 생각하면서 걷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늘의 색깔을 보고 느끼면서 걸어도 보고, 자연도 느끼며 낙엽이 떨어지려고 하는 것도 보고, 주변에 사람을 바라보면서 현재에 대한 집중을 하면서 걷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거와 미래도 중요하겠지만 너무 그러다 보면 현재가 약해지게 됩니다.
행복은 사실 오직 현재에 있기 때문에 현재에 대한 집중력을 회복하다 보면 다시 마음 충전도 일어나고 힘을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