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수변도시
국제협력용지 내에 조성되는 면적 6.6㎢, 거주 인구 2만 5천명 규모의 친환경 복합도시로, 현재 통합개발계획을 수립 중입니다.
○ [새만금 사업 추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새만금사업법')] 개정 : 속도감 있는 새만금 사업 추진
○ [경관법] 시행령 제20조(사전경관계획의 수립 등) : 면적 30만㎡ 이상의 개발사업은 사전경관계획을 수립하여 새만금 위원회 승인을 받도록 규정
통합개발계획
공간별 기능 구분, 녹지공간의 유기적 연계, 3개 호소 조성을 통한 수변공간 활용성 강화 등
개발 컨셉 | 새만금의 특성과 여건을 충분히 반영하여 다양한 주거와 자연이 어우러진 친환경도시, 어디서든 수변 조망과 친수활동이 가능한 수변도시, 실시간 정보공유, 소비가 가능한 스마트 도시로 조성되도록 도입기능을 계획 |
도입 기능 | 거점공간을 구분하고, 거점간 수공간 및 녹지축을 계획하여 연계성을 높이면서, 호소별(3개소)로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여 스마트 수변 도시의 개발컨셉을 부각시킴. ① 특화된 거점 공간 - 주거, 업무, 산업, 관광 등 공간별 특화기능 설정 - 도시 중심에 창의지구를 계획하여 글로벌 교류기능 담당 ② 수공간과 녹지로 유기적 연계 - 호소와 수로를 중심으로 Blue Network - 공원과 생태용지를 연계한 Green Network ③ 수공간의 다양화 - MICE 지구 : 국제업무 및 관광 기능 중심 - 레저지구 : 수변특화주거, 대규모 레포츠 시설 중심 - 생태주거지구 : 친환경 주거, 문화, 교육 중심 |
사전경관계획 주요내용
① 역동적인 스카이라인 형성 : 경관구조 시뮬레이션을 통한 건축물 형태변화로 단조로운 스카이라인 탈피
② 중심가로 경관계획
③ 색체 및 야간경관계획
새만금 개발청은 오는 6월까지 새만금개발공사로부터 수변도시 통합개발계획(안)의 승인 신청을 받은 후, 관계부처 협의와 각종 영향평가·새만금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11월까지 승인을 완료하고 공사에 착공, '24년까지 조성을 완료할 계획
사업개요
추진배경 : 국정과제 국가균형발전(속도감있는 새만금사업 추진을 위한 공공주도 매립) 실현을 위한 새만금 스마트 수변도시 조성사업의 추진
추진목표 : 공공주도사업을 통한 새만금사업 불확실성 제거 및 안정화, 성곡적 사업시행으로 새만금 개발의 지속적인 추진동력 마련
사업개요
- 위치 : 새만금사업지역 국제협력용지 내 선도사업지구
- 면적 : 6.6㎢(새만금 사업지역 전체 409㎢)
- 사업기간 : 2019년 ~ 2024년
- 계획인구 : 2.5만인(세대수 : 1.1만호)
추진계획
- 2020.05 : 통합개발계획(안) 승인신청(公社 → 새만금개발청)
- 2020.11 : 통합개발계획 승인(새만금개발청)
- 2020.11 : 공사착공
- 2024.12 : 공사준공
토지이용계획(안)
기본계획(안)
기본계획(안)
교통처리계획
공원 · 녹지계획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 전매행위 제한기간 강화(대상지역, 기간) (0) | 2020.05.11 |
---|---|
투기적 법인 주택거래에 대한 대응 강화 방안 (0) | 2020.05.11 |
부동산 상속과 세금(상속세) (0) | 2020.05.08 |
부동산 양도할때 세금(양도소득세, 농어촌특별세, 개인지방소득세, 부가가치세) (0) | 2020.05.08 |
중소상공인들을 위한 수도권 지식산업센터에 투기가.. (0) | 2020.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