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윈도우 10 정품키 라이선스 다른 PC로 옮기는 방법

by 한결처럼 2023. 2. 11.
반응형

윈도우 10 정품 라이선스를 다른 노트북이나 데스크톱으로 옮기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라이선스 이동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윈도우 10 라이선스 종류와 방식을 알아야 합니다. 윈도우 정품 라이선스를 사용하고 있다고 해도 옮길 수 없는 정품 라이선스 종류가 있기 때문에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 라이선스의 종류를 확인하고, 윈도우 정품키를 다른 PC로 옮기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정품 라이선스 새로운 노트북 또는 데스크톱으로 이전하는 방법

윈도우 정품 라이선스에는 다양한 버전의 종류가 있습니다. 이전이 가능한 라이선스와 불가능한 라이선스가 있으니, 라이선스의 종류를 확인한 다음 라이선스 이전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라이선스 이전이 가능한 경우 MS 계정과 라이선스를 연동해서 아주 쉽게 라이선스를 새로운 컴퓨터에 이전할 수 있습니다. 만약 라이선스와 MS 계정이 연동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정품 라이선스 종류와 이동 가능한 라이선스

윈도우 라이선스를 이동하기 전에 이동 가능한 라이선스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윈도우 라이선스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볼륨 라이선스(Volume License), OEN 라이선스(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License), 리테일 라이선스(Retail License)가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라이선스에 대한 정책을 확인해 보면, 볼륨 라이선스는 기업에 제공되는 방식의 라이선스로 일반 사용자는 사용할 수 없고, 제품키 하나로 여러 PC에서 윈도우 정품을 인증할 수 있습니다.
OEM 라이선스는 주문자 생산 방식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노트북 또는 데스크톱을 구매할 때 장치에 종속되어 제공되는 라이선스를 말하는데, 윈도우 라이선스만 따로 구매하는 것이 아닌 반드시 컴퓨터와 함께 구매해야 하는 방식의 라이선스입니다. 대부분 삼성, LG와 같은 대기업 제품을 사는 경우에 설치되어 있는 정품 윈도우가 OEM 라이선스입니다.
리테일 라이선스는 FPP 라이선스와 ESD 라이선스 두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FPP는 실물 박스를 구매해서 정품 인증키와 윈도우 설치 USB를 구매하는 방식의 라이선스이고, ESD는 실물 박스 없이 이메일로 정품 인증키를 전달받아서, 윈도우 정품을 인증하는 방식의 라이선스입니다.

라이선스 종류를 알아본 이유는 새로운 또는 다른 PC에 윈도우를 옮기기 위해서는 리테일 라이선스(FPP, ESD)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그리고 FPP와 ESD 라이선스는 1대의 컴퓨터에서는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1개의 라이선스를 동시에 1대 이상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현재 노트북 또는 데스크톱에서 사용하고 있는 정품 윈도우 종류를 확인해 보고 FPP 또는 ESD 라이선스인 경우에는 새로운 PC에서 정품키를 인증해서 윈도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볼륨 라이선스는 새로운 데스크톱 또는 노트북에서 정품인증을 할 수 있고, 여러 대의 장치에서도 인증이 가능하지만, 일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는 버전이기 때문에 따로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윈도우 정품키 라이선스 버전 확인 방법

키보드 [윈도우 로고키 + X] 키를 동시 입력 ▶ [Windows Powershell(I)] 실행 ▶ slmgr /dli 명령어 입력 후 Enter(엔터키) 입력 ▶ "Windows Script Host" 창이 뜨는데, 설명란에 [OEM] 또는 [RETAIL]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RETAIL]로 표기되어 있다면, 정품 라이선스를 다른 PC에 옮겨서 인증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정품 인증 방법 및 종류

라이선스 정품 인증 방식은 2가지가 있습니다.
MS 계정과 연동되어 있지 않은 시리얼 넘버(정품 인증키)로 윈도우 정품 인증을 진행한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MS 계정과 연동한 시리얼 넘버(정품 인증키)로 윈도우 정품 인증을 진행한 경우가 있습니다.

- MS 계정과 연동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윈도우 정품 인증 설정에 [Windows가 정품 인증됨], [Windows가 디지털 라이선스를 사용하여 정품 인증되었습니다.]라고 표기되어 있습니다.
- MS 계정과 연동한 시리얼 넘버로 윈도우 정품 인증을 한 경우에는 [Windows가 Microsoft 계정에 연결된 디지털 라이선스를 사용하여 정품 인증됨]이라고 표기되어 있습니다.

키보드 [윈도우 로고키 + i] 키를 동시 입력해서 [설정] 창 실행 ▶ [정품 인증] ▶ "활성화" 항목에
① [Windows가 Microsoft 계정에 연결된 디지털 라이선스를 사용하여 정품 인증됨]라고 표기되어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PC에서 MS 계정을 로그인해서 윈도우 라이선스를 바로 이전할 수 있습니다.
[Windows가 정품 인증됨] 또는 [Windows가 디지털 라이선스를 사용하여 정품 인증되었습니다.]라고 표기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 시리얼 넘버를 연동한 다음 새로운 PC에서 MS 계정을 로그인해서 윈도우 라이선스를 이전할 수 있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 정품 인증키를 연동하지 않더라도 명령어를 통해서 사용 중인 PC를 정품 미인증 상태로 되돌리고, 시리얼 넘버를 이용해서 다른 PC에서 정품 인증을 진행할 수 있지만,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 정품 라이선스를 연동해서 인증하는 방식으로 윈도우 라이선스를 이전하는 것이 훨씬 쉽고 편한 방법입니다.

 

윈도우 정품 인증키 MS 계정 연동 방법

"정품 인증" 창에서  [Windows가 정품 인증됨], [Windows가 디지털 라이선스를 사용하여 정품 인증되었습니다.]라고 표기되어 있는 경우 MS 계정과 시리얼 넘버를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매뉴얼 : 키보드 [윈도우 로고키 + i] 키를 동시 입력해서 [설정] 창 실행 ▶ [업데이트 및 보안] ▶ 왼쪽 사이드 메뉴 [정품 인증] 클릭 "Microsoft 계정 추가"에 있는 [+ 계정 추가] 버튼 클릭 ▶ 새로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만들거나, 가입되어 있는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 현재 윈도우 로그인 암호를 입력하면 계정 연결이 완료됩니다. ▶ "Windows" 항목에 있는 '활성화'에 [Windows가 Microsoft 계정에 연결된 디지털 라이선스를 사용하여 정품 인증됨]라고 표기되면, 정상적으로 윈도우 정품 인증키가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정품 라이선스 이동 방법

윈도우 라이선스가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을 완료한 상태라면 새로운 노트북 또는 데스크톱에서 MS 계정을 로그인해서 윈도우 라이선스를 쉽게 이전할 수 있습니다.

매뉴얼 : 라이선스를 넘겨받을 PC에서 키보드 [윈도우 로고키 + i] 키를 동시 입력해서 [설정] 창 실행 ▶ [업데이트 및 보안] ▶ 왼쪽 사이드 메뉴 [정품 인증] ▶ "Windows" 항목에 [Windows에서 장치에 제품 키가 없다고 보고했습니다. 오류 코드 : 0xC004F213]의 빨간색 표기가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아래에 있는 [문제 해결] 버튼 클릭 ▶ "Windows 정품 인증" 창에서 [최근에 이 디바이스의 하드웨어를 변경했습니다.] 클릭 ▶ "Microsoft 계정" 창에서 윈도우 정품 라이선스와 연동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 현재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의 암호 입력 ▶ "Windows 다시 정품 인증" 창에서는 [지금 사용 중인 디바이스입니다.]을 클릭해서 박스 체크한 다음 [정품 인증] 버튼 클릭 ▶ [Windows 정품 인증을 받았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이전에 사용하던 PC에서 새로운 PC로 정품 윈도우 라이선스를 이동을 완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마지막으로 설정의 [정품 인증]에서 "Windows"에 있는 '활성화'에 정품 인증되었다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