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로란트 그래픽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기에 앞서, 설정 방법이 취향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정답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한번 설정해보고 인게임에서 직접 판단해보시는 것이 더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됩니다.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논쟁이 많지만, 해외 프로 선수들이 사용하는 그래픽 설정법을 많이 찾아보고 적용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발로란트 설정을 따라하기 전 설정 초기화 후 따라하시는 것이 간편합니다.

발로란트 최적화 설정 세팅 방법
(1) 일반 설정
① 적 강조 색상
'적 강조 색상' 같은 경우에는 모니터랑 설정에 따라 좀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어떤 모니터는 적색이 더 뛰어나게 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어떤 모니터는 보라색, 노란색 이런 식으로 모니터마다 색감이 많이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적 강조 색상 설정 방법은 사용 중인 모니터와 조합이 맞고, 개인의 취향에 맞는 설정을 해보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② 표시 방식
화면에서는 전체화면을 설정해야 합니다.
전체화면을 했을 때 Alt+Tap(알트탭)을 하면 깜빡거리기 때문에 전체화면 창모드나, 창모드를 사용하는 분들이 많은데, 그러면 프레임 손실이 약 10~30까지도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전제화면 설정으로 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추가적으로 전체화면 창모드를 했을 경우에도 전체화면으로 했을 때 보다, CPU가 다른 쪽으로 많이 쓰이기 때문에 전체화면으로 설정하는 것이 최적의 설정 방법입니다.
③ FPS 관련 설정 방법
FPS 관련 설정은 '배터리 사용 시 FPS 제한', '배터리 사용 시 최대 FPS 설정', '메뉴에서의 FPS 제한', '메뉴에서의 최대 FPS 설정', '백그라운드에서의 FPS 제한', '백그라운드에서의 최대 FPS 설정', '모든 상황에서의 FPS 제한', '모든 상황에서의 최대 FPS 설정'을 말합니다.
위 항목의 FPS 설정들은 모두 꺼짐으로 설정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지싱크를 사용할 때는 '모든 상황에서의 FPS 제한' 설정을 켜짐으로 해서 357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평소에는 '모든 상황에서의 FPS 제한' 꺼짐으로 사용합니다.
④ NVIDIA Reflex(반사) 낮은 지연 시간
엔비디아 리플렉스 낮은 지연 시간 설정은 '켜짐+부스트'로 하는 순간부터 반응속도가 빨라지게 됩니다.
반응속도가 빨라지면 게임플레이에 이점이 많기 때문에 '켜짐+부스트'로 많이 사용하고, 엔비디아 제어판 설정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기 때문에 함께 설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래픽 품질 최적화 설정 더 보기 >
(2) 그래픽 품질
① 멀티스레드 렌더링
멀티스레드 렌더링 설정이 없는 경우는 CPU 성능이 단일코어일 경우에는 설정에서 보이지 않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PU의 성능을 활용하는 설정방법으로 브림스톤의 연막, 브리치의 지진 강타, 상대방 적을 처치하는 등의 상황에서 발생하는 렌더링이 필요한 물체의 관리 코스트가 게임 시뮬레이션 코스트와 GPU에서 실제로 렌더링 하는 코스트를 초과하는 화면에서 성능을 올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쉽게 말해 다수의 적 등장, 소바 궁 같은 스킬 시전시에 CPU가 잡아먹는 것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기능설정에 있다면, '켜짐'으로 설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래픽 설정에 있어서 추천드리고 싶은 설정은 2가지가 있습니다. 웬만한 프로들이나 스트리머 분들이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설정방법과 요새 새롭게 뜨고 있는 설정법이 있습니다.
②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설정법
- 멀티스레드 렌더링 : 켜짐
- 물질 품질 낮음
- 텍스처 품질 : 낮음
- 세부 묘사 품질 : 낮음
- UI 품질 : 낮음
- 비네트 효과 : 꺼짐
- 수직 동기화 : 꺼짐
- 안티 엘리어싱 : 없음
- 이방성 필터링 : 1x
- 선명도 향상 : 꺼짐
- [베타] 선명도 향상 : 꺼짐
- 블룸 효과 : 꺼짐
- 왜곡 : 꺼짐
- 그림자 활성화 : 꺼짐
③ 새롭게 사용되고 있는 설정법
엘 디아블로라고 불리는 yay 선수가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세팅법, 설정 방법입니다.
- 멀티스레드 렌더링 : 켜짐
- 물질 품질 낮음
- 텍스처 품질 : 낮음
- 세부 묘사 품질 : 낮음
- UI 품질 : 중간
- 비네트 효과 : 켜짐
- 수직 동기화 : 꺼짐
- 안티 엘리어싱 : MSAA 4x
- 이방성 필터링 : 4x
- 선명도 향상 : 켜짐
- [베타] 선명도 향상 : 꺼짐
- 블룸 효과 : 켜짐
- 왜곡 : 꺼짐
- 그림자 활성화 : 꺼짐
④ 각 설정법에 따른 보충 설명
UI 품질은 말 그대로 UI입니다. UI의 품질을 올려주지만 실제로 차이는 별로 없습니다.
비네트 효과는 화면 테두리를 어둡게 해서 화면 중앙에 좀 집중할 수 있게 하는 설정 방법입니다.
안티 앨리어싱은 화면에 계단 현상을 잡아주는 그런 효과가 있으며, 이방성 필터링은 좀 더 선명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선명도 향상과 베타 선명도 향상에 대해서 말이 많은데, 이걸 둘 다 키면 많이 선명해진다.라고 얘기하는데, 선명도 향상은 화면의 테두리가 좀 더 선명해지고, 베타 선명도 향상은 안쪽이 좀 더 선명해지는 효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블룸효과는 바이퍼 궁 같은 경우나 소바 리콘 같은 스킬이 조금 더 선명하게, 빛을 내는 스킬을 더 빛나게 해주는 그런 효과를 말합니다.
(3) 발로란트 NVIDIA 그래픽 설정 방법
설정 방법 확인 >
① 3D 설정 관리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 NVIDIA 제어판 실행 ▶ [3D 설정 관리] ▶ [프로그램 설정]
<프로그램 설정> 탭에서
▶ [1. 사용자 정의할 프로그램 선택(S)]에서 '추가(D)' 클릭 ▶ Valorant 추가
▶ [OpenGL 렌더링 GPU] 항목은 사용 중인 그래픽카드로 설정
▶ [가상현실 사전 렌더링 프레임]은 VR챗 하시는 분들은 조절해서 사용
▶ [기본 재생 빈도] '사용 가능한 최고 값'으로 설정
▶ [다중 프레임 샘플링 AA(MFAA)] "끄기"로 설정
▶ [모니터 기술] 최근 지싱크를 켰을 때 인풋렉이랑 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다고 해서 "G-SYNC, G-SYNC 호환"으로 설정
▶ [백그라운드 응용 프로그램 최대 프레임 속도] "전역 설정 사용(끄기)"로 설정
▶ [삼중 버퍼링], [수직 동기] 설정은 FPS 게임을 위해서는 무조건 "끄기"로 설정
▶ [스레드 최적화] 발로란트에서는 프레임이 잘 나오고 방어가 되기 때문에 "켜기'로 설정(오버워치에서는 "끄기"로 설정하는 것이 프레임이 잘 나옵니다) → 컴퓨터마다 프레임은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켜기"와 "끄기"로 프레임을 차이를 확인해서 적용하는 것도 좋은 설정 방법
▶ [안티엘리어싱-모드] "끄기" 또는 "전역 설정 사용(응용 프로그램 제어)" 둘 중 하나 설정해도 부방
▶ [이방성 필터링] 화면이 선명해지는 설정으로 "16x"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
▶ [저지연 모드] 엔비디아 리플렉스와 똑같은 개념으로 "울트라"로 설정
▶ [전원 관리 모드] "최고 성능 선호"를 권장
▶ [최대 프레임 속도] "전역 설정 사용(끄기)"을 권장
▶ [텍스처 필터링-품질] "고성능"으로 권장
<전역 설정> 탭에서
▶ [이미지 스케일링] 항목 '켜기'로 설정
▶ [쉐이더 캐시 사이즈] "비활성화"로 설정했을 때, 프레임 증가가 가능하기 때문에 권장합니다.
② Surround, PhysX 구성
발로란트는 그래픽카드가 좋은 것보다 CPU 성능이 높은 경우에 프레임이 더 잘 나옵니다.
그래서 [PhysX 설정] 탭에서 프로세서를 "CPU"로 설정해 줍니다.
(오버워치 프레임은 그래픽카드가 좋은 경우에 더 잘 나옵니다.)
③ 디스플레이
[바탕 화면 컬러 설정 조정] 항목에서 "디지털 바이브런스"를 90으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만, 모니터와 사용자 취향에 맞게 조절해보시기 바랍니다.
[바탕 화면 크기 및 위치 조정] 설정 방법은 스케일링 모드 선택은 "스케일링 없음(N)", 다음에 스케일링 수행(M)은 "GPU"로 설정하면 프레임 저하를 막을 수 있다고 합니다.
④ G-SYNC 설정
사양이 받쳐준다면, 지싱크 설정에서 "G-SYNC, G-SYNC 호환 활성화" 항목을 박스체크 해제했을 때는 전역설정에서 [이미지 스케일링]을 "켜기", 선명화 "55%"로 설정해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설정 후 인게임에서 확인해 보면, 눈에 띄는 프레임 저하도 없고, 화면이 부드러워진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선명한 화면을 선호한다면, 설정해보고 비교해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가전디지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데온 RX 580 성능 및 가성비 확인 (0) | 2023.01.03 |
---|---|
오픈마켓에서 파는 윈도우와 MS오피스, 한글 정품 인증키의 진실 (0) | 2023.01.03 |
Windosw 11, 새로운 기능 알아보기 (0) | 2022.12.22 |
오버워치2 필수 설정 및 프레임 최적화 설정 방법 (0) | 2022.12.22 |
윈도우 11 설치 방법과 최적화 설정으로 부팅 속도와 성능을 높이는 방법 (0) | 2022.1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