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전디지털

라데온 RX 580 성능 및 가성비 확인

by 한결처럼 2023. 1. 3.
반응형

라데온 RX 580 8GB 2048SP라 불리는 중국에서만 유통이 되었던, 그래픽카드입니다.
이 제품은 대부분이 59,000원짜리 그래픽카드로 많이 알고 계실 겁니다.
모델명은 RX 580 8GB 제품이라는데, 가격이 말도 안 되게 저렴합니다. 물을 건너와서 가격이 저렴한 건지 아니면 저렴할 때가 되어서 저렴한 건지, 일단은 가격대는 상당히 저렴한데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라데온 RX580 그래픽카드 분석

RX 580 8GB 2048SP 포장 및 제품 상태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제품을 많이 구매해보신 분들은 알 수 있지만, 거의 비닐 포장으로 되어 있고, 우리나라처럼 뽁뽁이로 도배하는 수준까지는 거의 보기 힘든 수준입니다.
제품을 확인해 보면, 그래픽카드 퀄리티는 상당히 깔끔합니다. 하지만, 골드핑거에서 이미 메인보드와 한번 결합이 되었던 제품이었습니다. 실제로 보면 팬이나 백플레이트 같은 외관에서 사용감을 전혀 찾아볼 수 없지만, 골드핑거를 확인해보면 완벽한 새 제품은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새 제품을 구매한 것인데, 골드핑거의 상태가 이렇다면 이것은 환불 대상입니다.

 

① 디자인 & 포트

일단 생김새는 팬은 2개로 구성이 되어 있고, 팬에 mingzhou라고 적혀있어 확실히 중국제품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ED가 나오는 곳은 없습니다.
디자인이 썩 좋은 편은 아니지만, 백플레이트를 금속으로 해놓아서 그래도 구색은 잘 갖추어 놓은 것으로 보입니다. 8핀은 1개를 쓰고 있는데, 이 정도 체급에서 적당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포트 같은 경우는 HDMI, DP, DVI 조합인데, 현재 출시되는 그래픽카드에서 볼 수 있는 조합은 아닙니다.
확실히 4~5년 전에 출시된 메인스트림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RX580은 2017년 4월 출시)
제품이 이름이 참 특이한데요. 뒤편에 적힌 스티커에서 RX580 8GB DDR5 그리고 2048SP라고 적혀있는데, 구글링을 해보면, 중국에서만 판매가 되었던 그래픽카드라고 합니다. 중국 내수용 제품이었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② 스펙 확인

스펙을 확인해보면서 알 수 있었던 점은 RX580보다는 570과 같은 성능이었는데요.
이름만 580이고, 실제로는 RX570 8GB와 성능이 같은 제품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AMD가 그래픽카드 네임을 가지고 장난을 쳤던 것으로 보입니다.

 

③ 벤치마크 및 게임 성능 테스트

라이젠 5 5600, TUF 8550 메인보드, XMP DDR4 3600 MHz 8GB 2개(총 16GB)로 세팅을 해서 테스트해본 결과 RX570 8GB 모델에서 기대할 수 있었던 3DMARK 결괏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RX 570 8GB 상위 모델은 아니고, 하위 모델과 비슷한 성능이 측정됩니다.
게임 플레이 역시도 RX 570에서 딱 기대할 수 있는 정도였는데, 디아블로 2 레저렉션은 옵션을 높일수록 60 프레임에 근접할 수 없기 때문에 중간 옵션이나 낮음을 선택해야 원활하게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포르자 호라이즌 5의 경우는 보통 옵션까지는 나쁘지 않은 프레임이 측정되지만, 가장 낮은 프레임에서도 80 프레임 가량 측정되기 때문에 확실히 높음이나 풀옵션을 선택하는 것은 쉽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배그는 국민옵션에 선명함을 켜고 진행했을 때, 생각보다 할만한 성능을 가지고 있었는데, 확실히 CPU가 받쳐주다 보니 하위 1% 프레임도 상당히 만족스러운 결괏값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국민옵션 자체가 높은 옵션이 아니기도 하고, 솔플 말고 팀플 위주로 배그를 즐긴다면 평균 20 프레임 정도는 더 떨어질 것으로 보이는데, 살짝 애매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버워치 2는 조금 더 높은 사양이 필요해졌는데, 실제로 게임을 돌리면서 아주 쾌적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꽤나 할만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가장 낮은 옵션에서 진행했을 때 그렇고, 역시 옵션을 올리면 올릴수록 프레임은 확실히 떨어지게 됩니다.
위쳐 3의 경우는 혼자 진행하는 스토리 위주의 게임이니 어느 정도 옵션을 올려도 나쁘지는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중간이나 조금 더 욕심을 내서 높은 정도로 둔다면 게임을 하는데 불편함은 없을 정도로 보입니다.
사이버펑크 2077의 경우는 확실히 프레임이 덜 나오기는 합니다. 최저로 놓아야 60 프레임 정도 유지하기 때문에 이때부터는 프레임을 포기하고 그래픽을 유지할지, 그래픽을 정말 다운시키고 프레임을 얻을지 고민을 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물론 가격을 생각해야겠지만, FHD 환경에서도 반드시 옵션 타협이 필요했는데요. 나름 저사양 게임인 오버워치 2를 플레이할 때도 중간을 넘어서는 옵션을 선택하기엔 한 타에서 아쉬운 프레임이 측정되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144Hz 모니터를 쓴다면, 60 프레임보다는 그래도 90 프레임이 훨씬 부드러울 테니 말입니다. 1~2년 전만 하더라도 존버용 그래픽카드, 가성비 그래픽카드라고 얘기를 했었지만, 채굴 그래픽카드가 대량으로 풀리면서 말도 안 되는 가격으로 구매가 가능했기 때문에 지금 상황에서는 조금 아쉬운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④ 온도, 팬 RPM

테스트를 하는 동안 온도는 75~76도 정도를 왔다 갔다 하고, 76도를 넘어가면서 팬 RPM이 올라가게 됩니다. 팬소음이 확실히 발생하게 됩니다.
요즘 나오는 그래픽카드와 비교를 해보면, 낮은 온도, 조용한 팬 소음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리고 내부를 확인해보면 보통의 그래픽카드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중앙에 칩셋이 위치하고 있고, 그 주위로 VRAM이 보이고 전원부가 위치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요즘 나오는 그래픽카드와 구조가 다르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물론 히트싱크가 두텁지는 않습니다.

 

⑤ 총평

여러 커뮤니티에서 해당 제품을 구매한 분들이 간략하게 남긴 후기들을 보면, 새 제품이 배송되었다는 글이 많았는데 일단 골드 핑거 부분을 살펴보면 확실하게 새 제품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고 전에 테스트를 하면서 메인보드에 결합을 시켰는지, 원래 기판 자체가 중고였는지, 이것도 아니라면 특별한 케이스였는지는 몰라도 판매 전 확실하게 사용된 흔적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래픽카드 이름만 RX580이지, 실제로는 RX570 8GB와 동일한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올해 9월까지만 해도 이더리움 채굴이 가능했는데, 그래서 중국 전용 + 채굴이라는 이슈가 겹치면서 우리나라에서는 마니아들만 알고 있었던 제품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RX 580 그래픽카드는 메인으로 활용하기에는 조금 불안하다고 볼 수 있는데, 성능에서 오는 불안함 보다는 중국 내수용의 특성상 A/S가 없다는 점이 있고, 요즘 중고장터에서 A/S가 1~2년가량 남아있는 GTX1660 시리즈가 10만 원 초반에 판매가 되고 있어서, 엄청나게 저렴하게 그래픽카드를 구매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면 메리트가 있다고 볼 수는 없는 그래픽카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서브 PC에 달아줄 저렴한 그래픽카드가 필요하다면 고려해볼 만한 정도 또는 FluidMotion을 활용할 계획이 있다거나, 5~6만 원짜리 그래픽카드가 망가져도 딱히 아쉬울 게 없는 분들이라면 나름 잘 활용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드는 제품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