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맥북 잠자기모드 기본 세팅 설정 방법과 딥슬립모드 전환 설정 방법

by 한결처럼 2023. 1. 12.
반응형

맥북을 사용하는데 정말 좋은 기능 중 하나인 잠자기 모드가 있는데, 잠자기 모드와 관련된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잠자기 모드 실행 방법과 기본적으로 세팅하는 방법, 그리고 잠자기 모드에서 딥슬립모드 전환 설정과 잠자기 모드 실행 시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설명하기에 앞서, 잠자기 모드 =  하이버네이트(Hibernate) 모드, 딥슬립모드는 스탠바이(Standby) 모드의 정식 명칭을 맥에서는 사용하고 있습니다. 설명 편의를 위해서 잠자기 모드와 딥슬립모드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잠자기 모드란

잠자기 모드는 절전 모드를 의미하는데요.
맥북의 잠자기 모드는 작업 중이던 앱의 실행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맥북을 사용하다가 장소를 이동할 때 사용하기 좋습니다. 그리고 맥북을 다시 켰을 때, 잠금해제 또는 앱을 다시 실행 시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습니다.

(1) 잠자기 모드 설정 실행 방법

잠자기 모드 실행은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노트북을 사용할 경우 노트북 화면을 덮거나, 단축키를 사용해서 실행하거나, 상단 메뉴의 잠자기 메뉴를 통해서 잠자기 모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① 노트북을 사용하는 경우 노트북 화면을 닫아서 잠자기 모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② 맥북 좌측 상단에 위치한 애플 로고 클릭 ▶ [잠자기] 클릭
③ 단축키를 활용해서 잠자기 모드 실행

잠자기 모드 실행 단축키

아래 3가지 단축키를 동시에 누르면, 잠자기 모드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 만약 단축키를 누르고 화면이 꺼지지 않더라도, 잠시 기다리면 잠자기 모드가 실행됩니다.

  1. Shift + Control + 전원 버튼
  2. option + Command + 전원 버튼
  3. 전원 버튼

 

(2) 잠자기 모드 종류와 특징

절전 모드에서 시간이 지나면 최대 절전모드로 전환이 되는 것처럼 잠자기 모드는 슬립 모드에서 딥슬립모드로 전환이 되는데요. 

슬립모드와 딥슬립모드 차이

슬립모드와 딥슬립모드는 각각 특징이 있는데요.
슬립 모드는 잠자기 모드이지만, 시스템의 일부가 깨어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소량의 전력 소모를 하는 대신, 맥이 깨어나는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딥슬립 모드는 슬립모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진입하게 되는데, 딥슬립모드가 실행되면 남아있던 일부 시스템도 잠자기 상태로 전환되면서 배터리 소모량이 슬립 모드보다 더 줄어들게 됩니다. 깊은 잠을 자는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에서 반응을 주었을 때, 맥이 깨어나는 속도가 느립니다.

 

(3) 잠자기 모드 기본 환경설정 세팅 방법

잠자기 모드 및 잠자기 상태를 방해하는 몇 가지 요인을 설정 및 세팅하는 방법입니다.

① 시스템 환경설정 세팅 방법

[시스템 환경설정] ▶ [배터리] ▶ "배터리"와 "전원 어댑터"로 나누어져 있는데, 각각의 설정들을 취향에 맞게 설정합니다. 디스플레이 끄기 시간을 10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배터리 탭에서 "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때 화면 밝기를 약간 낮추기" 박스 체크
  • 배터리 탭에서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동안 Power Nap 활성화하기" 박스체크 해제
  • 배터리 탭에서 "자동 그래픽 전환" 박스 체크
  • 전원 어댑터 탭에서 "디스플레이가 꺼져 있을 때 컴퓨터를 자동으로 잠자지 않게 하기" 박스 체크
  • 전원 어댑터 탭에서 "네트워크 연결 시 깨우기" 박스 체크 해제
  • 전원 어댑터 탭에서 "전원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 Power Nap 활성화하기" 박스 체크
  • 전원 어댑터 탭에서 "자동 그래픽 전환" 박스 체크

② 블루투스 설정 세팅 방법

[시스템 환경설정] ▶ [Bluetooth] ▶ [고급]

  • "시동 시 키보드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 Bluetooth 설정 지원 열기" 항목 박스 체크
  • "시동 시 마우스 또는 트랙패드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 Bluetooth 설정 지원 열기" 항목 박스 체크
  • "Bluetooth 기기로 이 컴퓨터 깨우기 허용" 박스 체크 해제

③ 공유 설정 세팅 방법

[시스템 환경설정] ▶ [공유]에 들어가서 필요 없는 항목들을 모두 박스체크 해제합니다.

 

(4) 슬립모드에서 딥슬립모드 전환 세팅 설정 방법

슬립모드에서 딥슬립모드로 전환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딥슬립모드로 빠르게 전환시키면, 상대적으로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를 원한다면 설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맥의 바탕화면에서 단축키 [command + 스페이바스] ▶ 검색창에 terminal 입력 ▶ 새로운 창이 하나 뜨게 되는데, 내용 마지막에 pmset -g 입력 ▶ 여러 개의 정보가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 standby(스탠바이) : 딥슬립모드(최대절전모드)를 의미하는데, 숫자는 최대 절전 모드 사용여부에 대한 내용입니다. "standby 1"은 최대절전 모드 ON, "standby 0"은 최대절전 모드 OFF를 의미합니다. 만약 최대 절전 모드를 사용하려면 "1" 수정해야 합니다. "0"으로 되어 있다면 sudo pmset standby 1 입력해 주면 되겠습니다.
  • standbydelaylow : 슬립모드에서 일정시간 후에 딥슬립모드로 전환이 되는데, 여기서 말하는 일정시간을 의미합니다. 잠자기 모드에서 배터리 소모가 많은 경우 이 부분을 수정해서 딥슬립모드 전환을 빠르게 해서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표기되어 있는 수치는 "초"단위로 설정을 할 수 있는데요. 기준이 없다면, 600초(10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standbydelayhigh : 앞서 설명한 standbydelaylow와 standbydelayhigh는 배터리 양이 많을 때와 배터리 양이 적을 때를 의미합니다. "초"단위로 설정할 수 있으니, 사용 취향에 맞게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low와 똑같은 시간을 설정해 두어도 괜찮습니다.
  • highstandbythreshold : 배터리 양이 많고 적음의 기준을 정하는 수치입니다. 예를 들어 50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배터리 50%를 기준으로 배터리 50 이상이면 high, 배터리 50 이하이면 low에 해당합니다.

예를 들어 슬립모드에서 딥슬립모드로 전환되는데, 배터리 양과 상관없이 같은 시간에 전환하고 싶다면, standbydelaylow와 standbydelayhigh를 같은 수치로 입력 세팅하면 되겠습니다.
입력 설정 방법 : sudo pmset standbydelaylow (수치) / sudo pmset standbydelayhigh (수치)

 

(5) 슬립모드 시스템 변경을 통한 배터리 소모량 줄이는 세팅 방법

슬립모드(하이버네이트) 3가지 모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① hibernate 0

하이버네이트 0번은 슬립모드에서 빠르게 깨어날 수 있는 모드인데, 대신 배터리가 방전이 될 경우 작업 중이던 데이터들이 모두 증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습니다. 주로 아이맥, 맥스튜디오와 같은 데스크톱과 같이 항상 전력이 공급이 되는 상황에서 설정해서 사용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② hibernate 3

하이버네이트 3번은 맥의 기본 디폴트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모드입니다.
하이버네이트 0번 모드를 보완한 버전인데, 항상 빠르게 깨어나면서 데이터 유실이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추천드리는 슬립모드입니다.

③ hibernate 25

하이버네이트 25번은 깨어나는 속도는 느리지만, 배터리 소모량을 가장 아낄 수 있는 모드입니다.
잠자기 모드에서 배터리 소모량을 최대로 절약하고 싶다면, 25번 모드로 변경 설정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슬립모드 변경 방법

"sudo pmset -a hibernatemode 모드번호"를 입력해서 잠자기 모드 시스템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모드 번호는 설명한 0, 3, 25번 중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모드번호를 입력해 주면 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