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 관광 활성화(동 · 남해안 명품 관광거점 조성)
남해안 명품전망공간 조성 등 4건 신규 추진(총 681억 원 투입)
국토교통부는 올해 해안권 및 내륙권 개발사업으로 남해안 명품전망공간 조성 등 681억 원 규모의 4개 신규 사업을 착수 할 계획
국토부는 개발사업 추진을 위해 2018년 12우러 동 · 서 · 남해안 및 내륙권 발전 특별법이 2030년까지 연장됨에 따라 경제, 문화, 관광, 정책 환경 변화를 반영한 6개권역 발전종합계획의 재정비를 준비
*6개권역 : 동해안권, 남해안권, 서해안권, 백두대간권, 내륙첨단산업권, 대구-광주연계협력권
이번 착수 사업에는 지난해 6월 고시한 [남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의 핵심사업 중 3곳이 반영되었고 동해안권에서 1곳이 포함
2021년 착수하는 주요 신규 사업
① 남해안 명품전망공간 조성(3개소, 118억원)
전남 고흥 ~ 경남 거제 간 575km 구간중 대표적인 전망대 3개소(고흥, 여수, 통영)에 총 118억 원을 투입하여 전망시설 및 주민 협력사업과 부대사업으로 남해안을 여행하면서 쉬어갈 수 있는 소규모 전망쉼터, 가드레일 개선, 버스정류장 특화 등을 추진하여 남해안 관광을 활성화할 계획
- 전남 고흥 금의 시비공원 내에 28억 원의 사업비로 복합문화공간(400㎡), 화장실, 전망대, 공원시설정비 및 조경공사(2,500㎡), 산책로 계단(100m)를 설치하고
- 전남 여수 갯가 노을 전망대에는 43억 원의 사업비로 스마트 전기차 주차장(130㎡), 여자만 노을 카페, 갯벌체험지원을 위한 게스트하우스, 글램핌장, 야외수영장, 갯가 노을 정원을 조성한다.
- 또한, 경남 통영 달아전망대에는 37억 원을 투입하여 수직형 전망대(200㎡)도 설치한다.
- 올해 안으로 기본 및 실시설계를 마치고 2022년 본격적인 공사에 착수하여 2023년 준공할 계획이다.
② 남해대교 관광자원화 사업(190억원)
국민관광지로 명성이 높았던 남해대교가 창선·삼천포 대교와 노량대교의 개통으로 교량기능이 다함에 따라 총 190억 원을 투입하여 신개념 문화 관광 교량으로 재생하는 사업이다.
- 한때 동양 최대의 현수교를 자랑하였으나, 1973년 준공이후 47년의 세월이 흐르면서 최고령 현수교가 된 남해대교*를 지역 대표관광 자원으로 만드는 사업으로 해상카페, 전망데크, 조명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 남해대교 : 길이 660m, 너비 12m, 높이 52m(최초 현수교)
- 올해 안으로 기본 및 실시설계를 마치고 2022년 본격적인 공사에 착수하여 2023년 준공할 계획이다.
③ 섬진강 영호남 복합형 환승공원 조성(180억원)
남해고속도로 중심에 위치한 섬진강휴게소(광주에서 112㎞, 부산에서 138㎞) 주변에 총 180억 원을 투입하여 하이패스IC, 남해안 특판장, 환승주차장, 공유자전거 대여소, 영호남스토리움, 수변공원 등 복합형 휴게소로 조성하고 남해안 광역시티투어를 시범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영호남 경계에 위치한 섬진강 휴게소는 고속·시외버스 환승이 가능하고 휴게소간에 육교가 설치되어 도로로 반대편 휴게소 이동이 가능한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복합시설을 조성할 계획이다.
- 올해 안으로 기본 및 실시설계를 추진하고 2022년 본격적인 공사를 착수하여 2023년 준공할 계획이다.
④ 백두대간 문화철도역 연계협력사업(6개소 193억원)
태백시와 정선시의 6개 역사를 중심으로 총 193억원을 투입하여 각역이 지니고 있는 스토리와 문화자원 및 주변 관광자원을 연계한 체험시설을 조성하여 폐광지역 이미지를 문화관광 중심으로 쇄신하기 위한 사업
* 6개 역사 : 태백역, 추전역, 철암역, 정선역, 나전역, 아우라지역
- 세부사업으로는 낙동강 발원지 스토리 파크조성(태백역), 철로변 산책길 조성, 별빛도서관(추전역), 탄광생활 체험공원조성(철암역), 5일장 가는길 조성(정선역), 검정고무신 테마파크조성(나전역), 아우라지 조망타워 및 짚 와이어(zip-wire) 설치(아우라지역) 등이 포함되었다.
- 올해 안으로 기본 및 실시설계를 마치고 2022년 본격적인 공사에 착수하여 2024년 준공할 계획이다.
해안 및 내륙권 발전 종합계획 수립
추진 배경
「동·서·남해안 및 내륙권 발전 특별법」연장(‘20년→’30년)으로 이에 부합하는 사업발굴 등 6개 권역* 발전종합계획 수립 필요
* 동해안권, 서해안권, 남해안권, 백두대간권, 내륙첨단산업권, 대구‧광주협력권
** (수립절차) 시‧도지사 입안 → 주민공청회, 국토계획평가 및 국토정책위 심의 → 확정‧고시
초광역 인프라 구축, 문화‧관광자원 연계, 지역특화 산업 발굴 등을 계획을 반영하여 발전종합계획 수립
추진 현황
계획수립 및 협정체결 : '19. 12. ~ '20. 1.
용역착수 및 보고회 개최 : '20. 3. ~ 6.
중간보고회 : '20. 7. ~ 12.
※ 남해안권발전종합계획변경 : '20. 6월고시완료
용역명 | 용역비(억원) (지방비포함) |
용역기간 | 용역업체 |
▪ 발전종합계획 수립 용역 | 10.55 | ||
①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 | 1.79 | '20.3 ~ '21.1 | 대구경북연구원 |
②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 | 2.59 | '20.2 ~ '21.6 | 국토연구원 |
③ 백두대간권 발전종합계획 | 1.83 | '20.3 ~ '21.1 | 강원연구원 |
④ 내륙첨단산업권 발전종합계획 | 2.52 | '20.4 ~ '21.4 | 충북연구원 |
⑤ 대구‧광주 연계협력권 발전종합계획 | 1.82 | '20.5 ~ '21.3 | 광주전남연구원 |
⑥ 남해안권 발전종합계획 | '20.6. 고시 |
향후 계획
관계부처협의 : '21. 1. ~ 2.
국토정책위원회심의 : '21. 3. ~ 4.
최종확정고시 : '21. 5. ~ 6.
해안권 및 내륙권 권역도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시성 · 안전성 높인 S-BRT, 전국 7대 도시로 확대 구축 (0) | 2021.01.18 |
---|---|
공공재개발 후보지 첫 선정 (0) | 2021.01.15 |
비수도권 최초 대구권 광역철도 본격 추진('23년 개통) (0) | 2021.01.11 |
구리갈매, 성남복정 등 주거복지로드맵 10곳 지구계획수립 완료 (0) | 2021.01.11 |
3기 신도시 사전청약 시작(7월부터~) (0) | 2021.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