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국민연금 수령 나이, 조기수령, 조기노령연금 신청 방법

by 한결처럼 2024. 2. 21.
반응형

국민연금은 국민연금 제도에 따라 국민연금 수령 나이를 정하고 있으며,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국민연금을 최대 5년까지 조기수령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민연금 수령 나이와 국민연금 조기수령 연령 그리고 국민연금 조기수령 인터넷 신청 방법까지 함께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국민연금 수령 나이, 조기수령, 조기노령연금 신청 방법

국민연금

국민연금은 노령연금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직장인이나 2인 이상의 개인사업자의 사업자도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4대 사회보험 중 하나입니다.

국민연금은 60세까지 납부하고, 국민연금법으로 정한 국민연금 수령 나이에 수령을 시작하거나 국민연금 조기수령을 선택하여 노령연금을 수령할 수 있으며, 연금 수령 기간은 개시 시작부터 평생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조기노령연금)을 인터넷으로 신청하는 방법까지 자세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1. 국민연금 수령 나이
  2. 국민연금 조기수령 조건 및 나이
  3. 조기노령연금 인터넷 신청 방법

국민연금 수령 나이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나이는 출생연도에 따라 다르게 국민연금법을 통해 정해두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 나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출생연도 국민연금 수령 나이
1952년생 이전 60세
1953년 ~ 1956년생 61세
1957년 ~ 1960년생 62세
1961년 ~ 1964년생 63세
1965년 ~ 1968년생 64세
1969년생 이후 65세
  • 1961년생, 1962년생, 1963년생, 1964년생 국민연금 수령 나이는 63세
  • 1965년생, 1966년생, 1967년생, 1968년생 국민연금 수령 나이는 64세
  • 1969년생, 1970년생, 1971년생, 1972년생 국민연금 수령 나이는 65세

국민연금법 부칙 제8541호 제8조를 통해 출생연도에 따라 국민연금 수령 나이를 다르게 하여 국민연금 지급 연령을 상향 조정하였습니다.

국민연금법 부칙 제8541호 제8조
국민연금법 부칙 제8541호 제8조

국민연금 조기수령

국민연금 수령 나이는 정해져 있지만, 일정 조건을 갖추었을 때는 최대 5년까지 국민연금 수령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출생연도에 따른 국민연금 수령 나이와 조기수령 나이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 출생연도별 나이

국민연금 조기수령을 국민연금공단에서는 조기노령연금이라고 부르며, 국민연금 조기수령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국민연금 가입 기간 : 10년 이상
  2. 소득 조건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아니하는 경우

국민연금에 10년(120개월) 이상 가입하고,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국민연금 조기수령 대상자에 해당합니다.

소득 조건은 국민연금법 시행령 제45조 소득이 있는 업무에서 자세한 내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법 시행령 제45조 소득이 있는 업무

소득 조건을 좀 더 쉽게 설명해 드리면, 연금을 지급받기 직전 36개월간의 월평균 임금이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평균 소득월액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

국민연금을 조기수령으로 개시하면, 1년 빨리 연금을 수령하면, 연 6% 감면된 연금액을 수령하게 됩니다. 따라서 1964년생을 기준으로 58세에 국민연금을 조기수령하기 시작하면 5년을 빨리 수령하는 것이기 때문에 70%를 지급하고, 59세에는 76%, 60세에는 82%, 61세에는 88%, 62세에는 94%를 지급합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 연령별 연금 지급율

국민연금을 조기수령했을 때, 가장 큰 장점은 소득이 줄어들어 건강보험료가 줄어드는 효과와 국민연금 수령액이 소득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국민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을 상실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러 국민연금을 조기수령해서 월 수령액을 줄이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기노령연금 인터넷 신청 방법

국민연금 조기수령 신청 방법은 국민연금 조기수령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전국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에 방문하여 청구가 가능합니다. 직접 방문하여 조기수령을 신청하는 방법 이외에도 우편, 팩스 청구도 가능하고,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인터넷 신청도 가능합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 인터넷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국민연금 전자민원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한 다음 "개인"으로 로그인합니다.
2. '개인 민원' 화면에서 "신고 / 신청" 메뉴를 클릭합니다.

조기노령연금 인터넷 신청 방법 1

3. '연금 청구 / 수급자 관련' 카테고리에 있는 "연금 / 일시금 청구" 메뉴를 클릭합니다.

조기노령연금 인터넷 신청 방법 2

4. '연금 / 일시금 청구' 페이지에서 현재 노령연금 또는 조기노령연금 청구대상자인지 확인합니다.
5. 확인한 다음 우측 하단에 있는 "조기노령연금 청구서 작성" 메뉴를 클릭합니다.

조기노령연금 인터넷 신청 방법 3

6. '고객정보 확인' 화면에서 안내하는 내용을 기입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7. '부양가족연금대상자 입력' 화면에서 부양가족의 성명, 주민번호, 관계, 장애심사구분, 장애표시 등의 내용을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8. '출산 크레딧 대상자 입력' 화면에서는 2008년 1월 1일 이후 출생 및 입양 자녀가 2명 이상인 경우 해당 내용을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조기노령연금 인터넷 신청 방법 4

9. 다음 페이지에서 소득 여부에 대한 내용과 연금을 지급받을 계좌번호를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조기노령연금 인터넷 신청 방법 5

10. 마지막 국민연금 조기수령 신청서 작성 완료 단계에서 입력한 신청 내용을 모두 확인한 다음 "등록" 버튼을 클릭해서 국민연금 조기수령 인터넷 신청을 완료합니다.

이상으로 국민연금 수령 나이와 조기수령 나이 및 조건 그리고 국민연금 조기수령(조기노령연금) 인터넷 신청 방법까지 모두 안내해 드렸습니다. 국민연금은 추후납부를 통해서라도 최대로 납입하고 노후에 연금을 받는 것이 상당히 좋습니다. 또한 국민연금을 최대한 빠른 시기에 조기 수령하는 것도 상당히 유리한 점이 많습니다.

앞서 설명해 드렸듯이 소득을 줄여서 지역가입자인 경우에는 건강보험료를 낮추거나, 피보험자 자격이 발탁되지 않도록 국민연금을 조기수령해서 매월 받는 지급률을 낮춰서 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이처럼 상황에 따라 국민연금 수령 나이와 조기수령 나이 및 조건을 고려해서 인터넷으로 조기노령연금을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