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뜰폰 요금제 비교 방법 3가지

by 한결처럼 2023. 4. 24.
반응형

알뜰폰 사용자수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2023년 2월 기준 가입회선 수가 1,334만 회선을 돌파했다고 합니다. 알뜰폰을 사용자수가 늘어나는 이유는 저렴한 알뜰폰 요금제와 약정 기간이 없기 때문에 더 많은 사람들에게 선택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알뜰폰 요금제 비교 방법 3가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뜰폰 요금제 비교 방법 3가지

 

알뜰폰 요금제

정식 명칭은 가상 이동통신망 사업자이지만, 알뜰폰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알뜰폰을 판매하는 사업자는 물리적인 자체 이동통신망을 보유하지 않고 SKT, KT, LG로 부터 망을 임차해 자사 브랜드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입니다. 국내에서 알뜰폰의 시작은 2004년 에넥스 텔레콤과 KT프리텔과 제휴해서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2012년에 명칭 공모전을 통해 알뜰폰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알뜰폰 요금제 비교 방법 3가지와 함께 제가 사용하고 있는 SKT, KT 요금제와 알뜰폰 요금제를 같은 데이터 사용 조건에서 얼마 정도의 요금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알뜰폰 요금제 비교

알뜰폰 사업자는 무려 70여 개가 넘는다고 합니다. 70여 개 알뜰폰 사업자에서는 다양한 요금제를 출시하고 있기 때문에 알뜰폰 요금제는 정말 엄청난 가짓수를 자랑합니다.

많은 분들이 SKT, KT, LG유플러스 통신 3사의 요금제를 비교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3개 통신사의 요금도 비교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인데, 무료 70개가 넘는 알뜰폰 사업자의 요금제를 비교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일입니다.

과학기술부(과기부)에서 알뜰폰 상품정보와 온라인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만든 알뜰폰허브 사이트, 미래창조과학부가 알뜰폰 사업자들의 부족한 유통망을 확충하기 위해 전국 우체국을 활용해 지원하기로 하면서 추진된 인터넷우체국 알뜰폰 사이트, 통신정보 스타트업 회사로 3년 정도 된 모요(모두의 요금제) 사이트가 있습니다.

알뜰폰 요금제 비교 방법 3가지는 바로 3개의 사이트에서 요금제를 비교하는 방법입니다. 1개의 사이트에서 모든 알뜰폰 요금제를 비교하면 더없이 좋겠지만, 현재 모든 알뜰폰 요금제를 한 번에 비교할 수 있는 사이트는 없기 때문에 다양한 알뜰폰 요금제를 선택하거나, 마음에 드는 요금제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모두 확인해 보는 것이 더 좋습니다.

알뜰폰허브 사이트 바로가기
인터넷우체국 알뜰폰 사이트
모요(moyo) 사이트 바로가기

 

데이터, 통화, 문자 사용량 조회

알뜰폰 요금제를 비교 조회하기 전에 우선적으로 내가 사용하고 있는 요금제 또는 한 달 동안 사용하는 데이터, 통화, 문자 사용량을 조회한 다음 알뜰폰 요금제를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SKT와 KT 사용량을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알뜰폰 요금제 비교 사이트 3곳에서 어느 정도 요금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본문 밑에 공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STK 요금제 및 월 사용량 조회 방법

'T World' 앱 실행 > 오른쪽 하단 [≡ 메뉴] > "나의 데이터/통화" > "최근 사용량" 항목에서 최근 3개월 동안의 '데이터', '음성', '문자'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의 SKT 월 사용량을 조회해 보니 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93.20GB, 음성 72분, 문자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SKT 최근 3개월 음성통화, 문자메세지, 데이터 사용량

KT 요금제 및 월 사용량 조회 방법

'마이 케이티' 앱 실행 > 왼쪽 하단 '메뉴' > '마이' 하위 메뉴 중 '가입/이용' > '이용량/이용내역' > '이용량 조회/충전' > '조회 기간' 설정 > '상세 보기' 항목에서 최근 4개월 동안의 '데이터', '음성', '문자'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의 KT 월 사용량을 조회해 보니, 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6.77GB, 음성은 많이 사용할 때는 100분 이상도 사용했고, 문자는 역시 거의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실제 사용중인 KT 데이터 사용량

 

알뜰폰 Hub(알뜰폰 허브)

알뜰폰 Hub 사이트에서 비교할 수 있는 17개 알뜰폰 요금제 사업자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 SKT 망 이용통신사 : 에스케이텔링크
  • KT 망 이용통신사 : 케이티스카이라이프, 케이티엠모바일
  • LG U+ 망 이용통신사 : 미디어로그, 인스코비, 엘지헬로비전
  • SKT & KT 망 이용 통신사 : 프리텔레콤
  • KT & LG U+ 망 이용 통신사 : 코드모바일, 세종텔레콤, 에넥스텔레콤, 위너스텔
  • 3사 망 이용통신사 : 스마텔, 아이즈비전, 유니컴즈, 큰사람커넥트, 한국케이블텔레콤, 국민은행

알뜰폰허브 홈페이지에서는 알뜰폰 요금제를 비교할 때, 데이터량, 음성량, 문자량, 납부요금, 통신규격, 통신망, 추가 사항, 검색 등을 통해 17개 알뜰폰 업체의 요금제를 비교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알뜰폰허브 알뜰폰 요금제 조회알뜰폰허브 자급제 휴대폰 검색알뜰폰허브 중고 휴대폰 검색
알뜰폰Hub 홈페이지 알뜰폰 요금제 비교 검색, 자급제 휴대폰 검색, 중고 휴대폰 검색

알뜰폰 Hub에서는 알뜰폰 요금제와 중고 휴대폰, 자급제 휴대폰, 알뜰폰 요금제 결함 휴대폰 등 대표적인 3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우체국 알뜰폰

인터넷 우체국 알뜰폰 사이트에서 비교할 수 있는 10개 알뜰폰 요금제 사업자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 위너스텔, 아이즈모바일, KCTV, 에넥스텔레콤, 큰사람, 와이엘랜드, 한국케이블텔레콤, 유니컴즈, 인스코비, 세종텔레콤

인터넷 우체국 알뜰폰 요금제 조회 데이터 사용량 조회

인터넷 우체국 알뜰폰 사이트에서도 데이터 사용량, 문자, 음성 모두 입력하고, 월 납부 요금까지 조회할 수 있습니다.

 

moyo(모두의 요금제)

모요 사이트에서 비교할 수 있는 30개 알뜰폰 요금제 사업자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 알뜰폰 사업체 : KT M 모바일, KT 스카이라이프, SK 7 모바일, 헬로모바일, U+유모바일, KCTV, KG모바일, M2모바일, 리브엠, 마블링, 모빙, 밸류컴, 사람과 연결, 슈가모바일, 스노우맨, 스마텔, 아시아모바일, 아이즈모바일, 아이플러스유, 엔텔레콤, 에스원안심모바일, 에이모바일, 여유알뜰폰, 위너스텔, 이야기모바일, 이지모바일, 인스모바일, 티플러스, 프리티, 핀디렉트, 포인트플러스모바일, 토스모바일
  • 이동통신사 : SK 텔레콤, LG U+

모요 홈페이지에서는 알뜰요금제, 이동통신사 요금제, 인터넷 요금, 휴대폰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모요에서도 데이터 필터링을 통해서 요금제를 찾을 수 있습니다.

moyo 홈페이지 알뜰폰 요금제 데이터 사용량 조회

 

알뜰폰 요금제 VS 통신사 요금제 비교

제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통신사는 SKT와 KT를 사용하고 있으며, SKT 사용하고 있는 요금제는 "T플랜 스페셜" LTE 데이터 150GB, 전화 문자는 무제한 사용 가능합니다. KT 사용하고 있는 요금제는 "데이터 ON 비디오" LTE 데이터 100GB, 전화 문자는 무제한 사용 가능합니다.
SKT 요금은 대략 3만 원 중반정도, KT 요금은 대략 4만 원 초반대의 요금을 내고 있습니다. 3개의 알뜰폰 요금제 비교 사이트에서 100, 150, 200GB LTE 데이터, 무제한 음성, 문자를 조건으로 요금제를 조회해 보았습니다.

데이터 150GB 요금 조회
  SKT
(사용중인 요금제)
알뜰폰Hub 우체국 알뜰폰 moyo(모요)
200GB 데이터 조회
월 요금 3만원 중반대 9,900 ~ 25,500원 우체국 알뜰폰 홈페이지에서는 20GB 이상 데이터를 조회가 불가능 했습니다.
게다가 조회결과에서는 데이터양을 비교하기 어려운 구조였습니다.
50,380원
데이터 150GB 150 ~ 250GB 이상 200GB
음성 통화 무제한 무제한 무제한
문자
데이터 100GB 요금 조회
  KT
(사용중인 요금제)
알뜰폰Hub 우체국 알뜰폰 moyo(모요)
월 요금 4만원 초반대 11,100 ~ 23,100원 상동 13,500 ~ 48,000원
데이터 100GB 100GB 100GB
음성 통화 무제한 무제한 무제한
문자

 

알뜰폰 요금제 결론

제가 사용하고 있는 SKT와 KT 요금제와 데이터 사용량을 비교하기 위해서 알뜰폰 허브, 우체국 알뜰폰, 모요 3개의 사이트에서 알뜰폰 요금제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결론을 말하기 전에 사용하고 있는 SKT와 KT 모두 가족 결합할인, 선택약정 할인을 받아 개인적으로는 상당히 요금이 저렴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멤버십 할인의 기능을 포함한다면 실제로 저렴하다고 체감하고 있습니다.

알뜰폰 요금제 100, 150, 200GB를 조회해 본 결과 가격차이가 상당했습니다. 하지만 우체국 알뜰폰 홈페이지에서 알뜰폰 요금제를 조회하는 것은 조금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가시적으로 요금제를 확인할 수 있었던 곳은 알뜰폰 Hub 사이트였습니다.

물론 위에 조회한 월 요금은 세부 조건까지 포함한다면 어디가 더 저렴하다는 것을 비교하기 위함은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이번 포스팅에 광고 또는 협찬이 전혀 없었으며 궁금하신 점이나 의견에 대해서는 댓글을 남겨주시면 답변드릴 용이가 있습니다.

결론은 저는 개인적으로 알뜰폰 Hub 홈페이지에서 알뜰폰 요금제를 선택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가시적으로 검색 조건을 비교할 수 있는 홈페이지 UI가 마음에 들었던 점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알뜰폰 요금제 비교 방법 3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본문 내용을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알뜰폰 사용을 고민하고 분들 중, 저렴한 요금제를 찾거나 와이파이 사용으로 데이터 사용이 정말 적은 경우에는 유심비 또는 월 납부금액 0원, 무약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요금제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만큼 알뜰폰 요금제는 조금의 부지런함만 있다면, 매우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통신 요금 제도입니다.

댓글